동대구터미널(정식 명칭: 동대구복합환승센터)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대형 복합 교통시설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시내·광역버스, 도시철도, KTX/SRT 등 모든 교통수단이 집중된 전국 최고 수준의 환승 허브입니다. 대구는 경상권의 중심 도시로서 서울, 부산, 광주, 인천 등 전국 주요 도시와의 교통 연결망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 있는 동대구터미널은 하루 수백 회에 달하는 버스 운행과 다양한 편의시설, 편리한 교통 연계 덕분에 연간 수백만 명이 이용하는 국가적 규모의 교통 거점입니다. 본문에서는 동대구터미널의 노선 및 시간표, 인근 역 정보, 편의시설, 주차장까지 모든 내용을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주요 노선 및 시간표
전국 거의 모든 대도시 및 중소도시로 향하는 고속·시외버스가 출발합니다. 고속버스의 경우 금호고속, 중앙고속, 한일고속, 천일고속 등 주요 운수회사가 운행을 맡고 있으며, 시외버스는 경북교통, 아성고속, 동양고속 등 지역 기반 업체가 다수 참여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은 수요가 있는 노선은 단연 서울(강남 고속터미널)행입니다. 하루 50회 이상 배차되며, 배차 간격은 10~15분 수준으로 매우 촘촘합니다. 우등, 프리미엄, 일반고속 모두 선택 가능하며, 평균 소요 시간은 약 3시간입니다. 남부터미널행, 동서울행 노선도 각각 하루 20회 이상 운행됩니다.
부산 방면은 동대구~부산 노선이 가장 활발한 지역 간 고속버스 노선 중 하나로, 하루 약 25~30회 운행되며 소요 시간은 1시간 20분 내외입니다. 광주행 고속버스는 하루 12~15회, 울산은 10회 이상, 진주·창원·마산 등 경남권 도시도 각각 5~10회 이상씩 배차되어 있습니다.
전라도 노선으로는 전주, 익산, 군산, 순천, 여수, 목포, 광양 등이 있으며, 강원도 노선도 원주, 강릉, 속초, 동해 등 주요 도시와 연결됩니다. 충청권(청주, 대전, 공주, 천안, 충주) 노선도 수시로 배차되어 수도권 외곽 지역과의 연결이 원활합니다.
시외버스는 경북 내륙 지역(안동, 영주, 문경, 상주, 청송, 울진 등)과의 연결에 특화되어 있으며, 일부 농어촌 지역까지 노선이 이어지므로 지역민 이용률이 높습니다. 일부 노선은 1일 1~2회만 운행되기 때문에 사전 확인이 필수입니다.
시간표 확인과 예매는 고속버스 예매사이트(kobus.co.kr), 시외버스 예매사이트(bustago.or.kr)에서 가능하며,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식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좌석 확인과 예매, 변경, 환불까지 가능합니다.
인근 역 및 접근 방법
동대구터미널은 KTX·SRT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지하 연결 통로로 바로 이어져 있는 국내 최고의 환승 연계성을 자랑합니다. 동대구역은 경부선, 대구선, 동해선이 지나는 핵심 철도역으로, 서울~부산 고속철도의 중간 거점입니다.
터미널과 동대구역은 건물 내부로 연결되어 있어 도보로 3분 이내 이동이 가능하며,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 편의시설이 잘 마련되어 있어 날씨와 상관없이 쾌적하게 환승할 수 있습니다. 기차 이용자뿐 아니라, SRT 이용자 역시 수서역에서 동대구역까지 직통으로 연결되므로 수도권에서 동대구터미널을 이용하기에도 매우 편리합니다.
지하철의 경우 대구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1호선을 이용하면 대구 전역은 물론 반월당역, 중앙로역, 안심, 설화명곡 등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2·3호선으로의 환승도 가능합니다.
시내버스는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정류장을 중심으로 10여 개 이상의 노선이 경유합니다. 401번, 425번, 503번, 524번, 708번, 909번 등이 주요 노선이며, 대구 전 지역 및 외곽 농촌 지역에서도 손쉽게 접근이 가능합니다.
자가용 이용 시에는 동대구로 또는 신암로를 통해 터미널 진입이 가능하며, 내비게이션에는 ‘동대구복합환승센터’ 또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을 입력하면 됩니다. 경부고속도로 동대구 IC에서 약 5분 내외로 진입할 수 있어 외부 지역에서 접근하기도 수월합니다.
터미널 내 편의시설 및 주차장 정보
단순한 터미널을 넘어 쇼핑, 문화, 식음, 휴식까지 가능한 ‘복합환승센터’로 발전되어 있습니다. 2016년 대규모 리뉴얼 이후, 전국 최고 수준의 고급 복합터미널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롯데시네마, 대형 마트, 쇼핑몰, 프랜차이즈 식당 등이 입점해 있습니다.
1층은 버스 승·하차장과 매표소, 키오스크, 실시간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승차 게이트는 버스 노선에 따라 분리 운영되어 혼잡을 줄이고 효율적인 탑승이 가능합니다. 발권은 무인 발권기 또는 모바일 QR코드로 가능하며, 친절한 안내 데스크도 상시 운영됩니다.
2층~4층은 쇼핑몰과 식음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타벅스, 버거킹, 파리바게뜨, 이마트 24, 한식당, 중식당, 분식 전문점, 뷰티숍, 약국, 서점 등이 운영 중입니다. 푸드코트와 키즈존도 마련되어 있어 가족 단위 고객도 편안히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기 공간은 넓고 쾌적하며, 전 좌석에 휴대폰 충전 포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무료 와이파이, 냉난방 시스템, 공기청정기, 멀티미디어 안내 시스템도 갖춰져 있습니다. 유아 휴게실, 수유실, 기저귀 교환대, 휠체어 대여소, 전용 엘리베이터 등도 마련되어 있어 모든 계층의 이용자들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차장은 복합환승센터 건물 내부 및 외부에 약 1,000대 이상 주차 가능한 대형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지하 1~2층, 지상 3층까지 총 5개 주차 구역이 존재하며, 승용차, 전기차, 장애인 차량, 이륜차 구역이 분리 운영됩니다.
기본 30분 무료 이용 후 10분당 500원, 일일 최대 15,000원 수준의 요금이 적용되며, 버스·기차 탑승객은 탑승권 제시 시 2시간 무료 주차 혜택이 제공됩니다. 롯데시네마 및 쇼핑몰 영수증과 중복 할인도 가능합니다.
전기차 충전소는 급속 4기, 완속 6기가 운영 중이며, 24시간 개방되어 있습니다. 택시 승강장도 터미널 앞쪽과 동대구역 출구에 나뉘어 운영되며, 늦은 밤에도 이용객이 많아 안전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동대구터미널은 전국 모든 교통수단이 집결한 국내 최고의 복합 교통 허브로, 노선 다양성, 접근성, 편의성, 시설 면에서 전국 최고 수준을 자랑합니다. 대구를 거쳐 전국으로 이동하려는 이용자라면 꼭 이용해봐야 할 대표적 고속·시외버스 터미널입니다.